본문
경남지부, 16일 총파업 투쟁…노조법 2·3조 개정, 폭염대책 마련 요구
새정부 초반기, 이재명 정부의 친기업 우경화 저지 결의
경남지부 조합원들이 노조법 2·3조 개정, 작업중지권 보장, 폭염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며 16일 하루 파업 투쟁을 전개했다.
이날 대우조선, 율곡, 한국항공서비스, DN솔루션즈, 삼성전자서비스, 이래CS, 피케이밸브, 한국정밀기계 등 김해부터 사천, 함안부터 거제까지 경남 전역의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들이 파업에 돌입하고, 창원으로 모였다.
16일 오후 4시부터 창원 STX오션타워 앞 중앙대로에서 ‘노조법 2·3조 즉각 개정! 윤석열정권 반노동정책 즉각 폐기! 노정교섭 쟁취! 민주노총 총파업 경남대회’가 진행되었다.
이날 대회엔 파업을 선언하고 거리로 나선 경남지부 조합원을 비롯하여, 민주노총 경남본부 조합원 3,000여명이 모였다.
김은형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장은 대회사에서 “빛의 혁명, 광장의 힘은 조기 대선과 새정부를 출범시켰지만, 불평등 양극화 윤석열정권의 반노동정책은 아직 그대로 남아있다. 최저임금 2.9% 인상은 이재명 정부가 노동 존중, 민생 회복 약속을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규탄했다.
김 본부장은 “새정부의 공약 이행을 믿고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투쟁을 통해 노동의 요구를 사회화하고 입법화하기 위해 초기부터 총파업 총력 투쟁을 해야한다”라고 밝혔다.
김일식 금속노조 경남지부장은 “내란세력의 정권 재창출을 막아냈지만 우리의 마음은 편치 않다. 이재명 정부는 국민통합을 명분으로 내란세력 잔당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지부장은 “노조법 2·3조 개정도 온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 방위산업체 노동자 파업권 보장, 조선소 다단계 하청구조 개선 방안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윤석열정권의 반노동정책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나중에 말고 지금 당장 우리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투쟁하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대회에서는 현장의 발언도 이어졌다. 강동화 민주일반연맹 일반노조위원장, 박봉기 한국지엠지부 창원지회 대의원, 홍선웅 공무원노조 경남본부 청년위원장 등이 발언을 했다.
금속노조 경남지부 몸짓패 ‘세모단’의 몸짓 공연과 경남지역 노래패 ‘동무야’의 공연도 이어졌다.
마지막 순서로 결의문 낭독이 있었다. 참가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내란세력이 만들어지게 된 뿌리깊은 우리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바꿔야만 진정한 내란세력을 청산할 수 있다”라며 “총파업 투쟁은 한국사회의 불평등을 청산하고 노동존중사회, 사회대개혁을 실현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라고 강조했다.
- 다음글모든 노동자를 폭염으로부터 안전하게 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