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메인메뉴

자유게시판

서브메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현대차 활동가는 어디에 있는가?
작성자 어용놈
댓글 0건 조회 2,927회 작성일 2010-12-27

본문

금속산별

현대차 활동가는 어디에 있는가?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비정규직 25일 파업에 정규직 소수 연대 … 반성과 평가로 정파의 벽 넘어야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2010년 11월 15일부터 12월 9일까지 모든 사내하청 노동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라며 25일간 역사적인 투쟁을 벌였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이명박 정권과 현대차 자본의 가공할만한 탄압과 살인적 폭력에도 불구하고 기세있는 파업을 전개했다.

그러나 정규직노조의 중재를 빙자한 파업 파괴와 함께 정규직 활동가들의 무기력은 앞으로 현대차 노동운동에 희망이 있는지, 어떻게 희망을 찾아야 하는지를 반성하게 하고 있다.

 

일부 활동가들의 눈부신 연대

 

물론 1공장 대의원들을 비롯해 일부 정규직 활동가들의 연대는 대단히 높이 평가받아 마땅하다. 특히 1공장 대의원들은 비정규직 파업에 대한 대체인력 투입 저지를 결의했고, 파업농성장에 대한 침탈을 인간방패가 되어 막았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농성장을 지켰고, 농성자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반입시키며 농성자의 손발이 되어 주었다. 파업 처음부터 끝까지 비정규직 조합원들보다 더 열성적이고 헌신적으로 싸웠다.

 

많은 정규직 활동가들은 매일 아침 저녁 공장 정문 앞에서 출근투쟁을 벌였고, 공장 앞 천막농성에 결합했으며, 1공장 농성장을 방문해 필요한 물품을 전달하고, 담요를 대신해 잠바를 벗어 비정규직을 덮어주었다. 2공장의 대의원은 비정규직 파업에 대한 구사대의 폭력을 온 몸으로 막아 큰 부상을 입었다. 5공장 대의원들은 비정규직 조합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모범적인 활동과 모금운동을 전개했다.

 

현대차 자본은 정규직 활동가들의 손발을 묶기 위해 1공장 강성신, 김철환, 박성락, 엄길정 대의원, 2공장 김광언, 3공장 허성관 대의원을 고소고발했고, 강성신, 김철환 대의원은 체포영장이 발부되어 공장에서 수배생활을 하고 있다.

 

사업부 대표들의 무능과 기만

 

그러나 7개 현장 정파조직들과 그 조직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업부대표들이 25일간의 파업에서 보여준 것은 무능과 무기력한 모습이었다.

 

현대차의 핵심적인 의사결정기구는 운영위원회다. 운영위원인 울산공장의 9개 사업부대표는 금속노조 박유기 위원장이 속한 민노회 3명, 이경훈 지부장이 속한 전현노 2명, 민주현장 1명, 현장연대 1명, 현장투 1명, 무소속 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9명 중 7명이 이경훈 지부장과 다른 현장조직이고, 그 중에서 박유기 위원장의 민노회가 다수인데도 불구하고 어떤 의미있는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비정규직의 점거파업 10일차인 11월 24일 현대차지부 확대운영위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총회 전에 정리 △파업전선 구축을 위해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실시 △교섭창구 개설 △동성기업 고용문제 우선 해결을 일방적으로 결정했고, 비정규직 투쟁을 동성기업 문제로 국한시키고, 정규직 조합원 총회로 비정규직 파업대오를 협박한 것이다.

 

11월 24일 이후에도 사업부대표들은 수 차례 농성장을 찾아와 ‘선 농성해제, 후 교섭’을 협박했고, 협박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사업부별로 농성하는 조합원들을 찾아가 회유와 협박을 계속했다. 현대차 이경훈 지부장은 사업부대표들의 침묵과 동조에 힘입어 비정규직 조합원들에 대한 협박을 계속할 수 있었다.

 

현대차지부 확대운영위는 12월 6일 “현대차지부는 비정규직 파업에 따라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12월 8일 실시한다. 8일 이전 교섭창구가 개설되면, 현대차지부는 총회 소집을 연기하고, 비정규직지회는 1공장 농성을 해제한다.”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 파업농성의 주체는 엄연히 비정규직인데, 정규직 확대운영위가 농성을 중단하라고 협박했고, 비정규직지회 이상수 지회장이 합의했다고 언론에 흘렸다. 급기야 비정규직지회는 ‘농성해제 합의한 적 없다’는 성명을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

 

무기력했던 현장조직과 전직 위원장

 

7개 현장조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비정규직 점거파업이 시작되고, 2~3공장 파업에 대한 구사대의 무자비한 폭력만행이 벌어진 후 7개 현장조직은 공동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비정규직 파업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그리고 파업농성장을 방문해 비정규직지회의 요구사항을 전해 듣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현장조직 의장단들은 이경훈 지부장과 사업부대표라는 공조직이 하지 않으면 현장조직이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다며 연대투쟁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다. 파업이 길어지고, 현대차지부의 파업 중단 협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비정규직지회를 엄호하고 현대차지부와 맞서지 않았다. 평의회와 민투위의 일부 대의원과 활동가들의 연대와 노력이 거의 유일했다.

 

현대차지부 한 활동가는 “현장조직들이 한 일이라고는 이경훈한테 해결하라고 요구한 게 전부였고, 그들 스스로 한 일은 거의 없었다”고 말했고, 1공장의 또 다른 활동가는 “파업 초반에 민노회, 민투위 등 현장조직들에게 윤여철 부회장에 대해 강력히 문제제기를 하라고 했지만 어느 조직도 입장을 내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경훈 지부장이 금속노조 대의원대회 결정사항을 거부하고, 총회를 개최한다고 했을 때에도 현장조직들은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이들은 총회를 거부할 것이냐, 가결할 것이냐를 놓고도 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 6개 현장조직이 총회에 반대한다는 유인물을 냈지만, 조합원들에게 왜 반대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지 못했고, 투표 당일에는 가결운동을 하는 등 혼란을 자초했다.

 

그 결과 20.4%인 9004명이 파업에 찬성하고, 8226명이 기권하는 일이 벌여졌고, 현대차지부는 반대 2만5795명와 기권을 합쳐 77.2%가 반대했다고 발표하고, 언론이 이를 대서특필하는 결과를 빚었다.

 

현대차지부 전직 위원장들은 아예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았다. 12월 2일 현대차지부의 요청으로 농성장을 찾아온 전직 위원장들 역시 비정규직지회 이상수 지회장에게 타협할 것을 요구했고, 농성에 참여하거나 단식농성을 벌이거나 하다못해 전직 위원장 공동성명서와 기자회견 하나 만들어내지 않았다. 한 전직 위원장이 공장 앞에서 출근투쟁을 하고 현장에서 파업을 지원한 것이 전부였다.

 

반성과 평가에서 시작하자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1차 파업은 끝났다. 그러나 정규직 정파조직들과 활동가들은 무기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비정규직의 25일간의 영웅적인 파업에 왜 진정한 연대를 하지 못했는지, 금속노조와 현대차지부의 기만과 협박을 왜 제대로 맞서지 못했는지, 금속노조의 파업 결정사항을 왜 강제해내지 못했는지, 정규직 조합원들의 찬반투표를 왜 의미있게 조직해내지 못했는지에 대해 반성하고 평가하지 않고 있다.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 현장의 건강한 활동가들은 불법파견 정규직화 투쟁에 대해 토론과 평가를 시작하자. 25일 비정규직 파업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얘기를 나누자. 비정규직 투쟁의 성과와 한계, 정규직 활동가들의 연대와 한계에 대해 함께 토론하자. 불법파견 정규직화 투쟁에 적극적으로 연대했던 정규직 활동가들이 정파와 조직을 넘어 함께 모여 논의하고, 공동행동을 준비하자.

 

비정규직 동지들과 출근투쟁, 중식선전전, 매주 수요일 결의대회에 정규직 동지들이 함께 참여하고, 정규직-비정규직 공동투쟁을 만들어내자.

진정한 평가와 반성으로부터 정파의 벽을 넘어서야 한다. 양심있는 모든 활동가들이 나서 죽은 현대차 정규직 운동에 숨을 불어넣어야 한다.

하단카피라이터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 주소. (51503)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마디미서로 64 노동회관 201호
Tel. 055-283-9113~4 / Fax. 055-267-1266 / 진보넷ID : 경남일
모든 자료는 자유롭게 출처를 밝히고 전재·인용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사전에 경남지부와 협의하여야 합니다. (No Copyright Just Copy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