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메인메뉴

자유게시판

서브메뉴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창문하나 없는 공장 모습에 충격"(금속노동자 ilabor.org)
작성자 콜트빨간모자
댓글 0건 조회 3,343회 작성일 2010-02-05

본문

“창문하나 없는 공장 모습에 충격”                                                                                                                                                                                                                                                           [사람과 현장]콜트콜텍노동자와 함께하는 문화연대  이원재 사무국장                                                                                                                                                                                                                                                                                             2010년 02월 04일 (목) 강선화 편집부장 edit@ilabor.org                                                                                                                                                                                                                                                                                                  기타를 연주한다. 관객은 나의 기타를 만든 노동자들이다. 무대에 서기위해 한 연습도 노동이었으며, 내가 사랑한 기타에 소리와 생명을 불어넣은 것도 노동이었음을 그들을 통해 배운다. 난 오늘 노동을 연주한다. 기타를 만들었다. 음악인들이 내가 만든 기타의 선을 조율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고 있다. 십 수 년을 일하며 깎고 닦았던 기타의 소리를 처음 듣는다. 내가 만든 기타는, 지금 더 이상 기타를 만들지 못하는 해고노동자의 얘기를 세상에 전하고 있다. 그리고 오늘 나의 고달픈 노동은 감미로운 음악이 되었다.
344_514_4523.jpg                                                                                                                                                                                                                                                                                                                                   ▲ 콜트콜텍 수요문화제 기타를 만드는 노동자, 기타를 치는 노동자.                                                                                                                                                                                                                                                                                                                                                              이들 기타노동자들이 모여 같은 소리, 같은 행동을 한다. 감미롭다. 무대에 오른 사람들은 일방적으로 노래만을 전달하지 않는다. 관객으로 선 노동자들도 들려오는 노랫소리만 듣지 않는다. 관객과 무대가 서로에게 노래한다. 무대에 선 문화노동자들은 좋은 기타를 만들어준 콜트·콜텍 노동자들에게 감사하고, 관객인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만든 기타로 자신들의 현실을 소리내어주는 문화노동자들에게 감사해한다. 복직투쟁과 문화는 그렇게 서로 공존하며 노동자들의 노동권과 생존권을 착취하는 자본가를 향해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콜트·콜텍 수요문화제(홍대 앞 클럽 ‘빵’,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는 항상 자본에 반격하는 노동자들의 축제가 된다. 문화노동자가 찾은 노동현장 콜트·콜텍 노동자들과 문화인들의 만남은 2008년 가을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7년 4월 해고된 후, 1년여동안 고단한 복직투쟁을 해오던 콜트·콜텍 해고노동자들과 문화인들은 대면식을 갖는다. 문화연대를 주축으로 사진작가, 시인, 음악인들이 기타 생산라인이 멈춘 공장을 방문한 것이다. ‘연대’를 위해. “당시 노동자들은 의아해 하며, ‘쟤네들이 와서 무슨 도움이 되지?’라고 묻는듯한 의심스런 눈초리로 바라 봤어요”라며 문화연대 이원재 사무국장은 첫 만남을 이야기한다. “저희에겐 목재를 갈고, 니스 칠하는 공장에 창문하나 없다는 것이 정말 충격이었어요. 또 공정중인 기타가 그대로 멈춰버린 라인의 모습을 봤어요. 잠자고 있는 기타의 모습은 노동자들에게는 노동이 빼앗겼고, 음악인들에게는 노래를 빼앗긴 참담한 상황을 투영하고 있더라고요” 문화인들에게 그 모습은 분노와 연대의 에너지를 받았던, 가장 잊지 못한 장면이 됐다고 한다.                                                                                                                                                                                                                                                                                                                                                                                                                                                             
344_512_4110.jpg                                                                                                                                                                                                                                                                                                                                                                                                                                                                                     ▲ 문화연대 이원재 사무국장                                                                                                                                                                                                                                                                                                                                                                                                                                                                                                           기타를 만드는 사람들 기타연주를 듣다 투쟁과 문화가 결합된 콜트·콜텍 복직투쟁은 ‘콜트·콜텍 기타를 만드는 노동자와 함께하는 문화노동자들’이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활동을 시작했다. 2008년 가을 청계광장 문화제를 시작으로, 5일간 릴레이 콘서트, 악기 전문상가인 낙원상가 앞 문화인 1인 시위, 그리고 원정투쟁까지,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한 복직투쟁은 이어지고 있다.
344_515_4610.jpg                                                                                                                                                                                                                                                                                                                                                                                                                                                                                                                                    ▲ 문화인들과 함께하는 콜트콜텍 문화행사                                                                                                                                                                                                                                                                                                                                                                                                                                                                                                                                                                        “콜트·콜텍 노동자들은 평생 기타를 만들었지만, 그 기타가 어떤 소리를 내는지 텔레비전으로만 들었어요. 그리고 뮤지션들은 평생 기타를 연주했지만 기타를 누가 어떻게 만드는지 처음 알게된거죠. 뮤지션들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 노동자들을 착취하며 만들어진 기타라는 것에 분노하기 시작한거에요” 때론 슬픔으로, 때론 자부심으로, 때론 자신의 현실과 오버랩되며 만감이 교차한 표정으로 기타 선율을 마음으로 새기던 노동자들의 모습은 인상적이라고 한다. 노동과 문화는 국제문화연대까지 이끌어 콜트·콜텍 복직투쟁에 결합한 문화인들은 세계적인 악기쇼에 주목했다. 기타를 치는 음악인들이 주 소비자고, 그만큼 사측은 이미지 마케팅에 주력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였다. 세계적인 3대 악기쇼(일본 요코하마 국제 악기 박람회, 독일 프랑크푸르트 뮤직메세, 미국 애너하임 더 남쇼)를 찾아 콜트·콜텍 노동자들의 현실을 알려냈다. 2009년 4월(독일), 2009년 11월(일본), 2010년 1월(미국) 세차례의 원정투쟁으로 콜트·콜텍은 국제문화연대를 이뤄내는데 성공했다. 독일 뮤지션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지지선언으로 화답했고, 일본에서는 ‘일본의 콜트콜텍 쟁의를 응원하는 모임’을 결성, 미국에서는 탐 모렐로, 웨인 크레이머, 부츠 라일리, 피닉스 벤자민 등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직접 참여한 콘서트가 열렸다.
344_516_4820.jpg                                                                                                                                                                                                                                                                                                                                                                                                                                                                                                                                                                                           ▲ 콜트콜텍 노동자를 지지하는 기타리스트 탐 모렐로                                                                                                                                                                                                                                                                                                                                                                                                                                                                                                                                                                                                                         그리고 콜트자본의 주 납품업체인 휀더가 자체조사에 착수하는 등 뮤지션뿐만 아니라 자본의 비판과 불매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자신들이 뿜어내는 아름다운 선율이 누군가를 착취한 자본의 소리라는 사실이 문화인들을 분노케한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반향은 미국내 100여개의 노동조합들이 콜트·콜텍 노동자들의 투쟁에 공식지지선언을 이끌어냈고, 상설적인 국제행동 연대체 건설에도 한몫했다. 콜트·콜텍의 연대는 이미 ‘승리’ 콜트·콜텍 투쟁의 승리는 분명 복직이다. 하지만 문화인들과 함께한 2년여동안의 복직투쟁에서 노동자와 문화가 연대한다는 것이 투쟁에 얼마나 큰 에너지가 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 것만으로도 ‘승리’ 그 자체가 아닐까. “투쟁 참가자들은 집회가 참가자들을 존중하고, 주체로 세워 교감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 우리는 머리띠, 피켓, 팔뚝질… 이미 많은 문화적 행위를 하고 있다. 다만 천편일률적인 행위라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내가 직접 만든 머리띠를 묶는 참가자들이 똑같이 찍어낸 머리띠를 묶는 마음과 같은 수 있겠는가” 문화연대 이 사무국장은 투쟁과 문화가 결합됐을 때의 힘은 승리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클럽 ‘빵’에 음악인들이 가끔 예전에 쓰던 콜트기타를 일부러 가져오곤 한다고 한다. 그리고 노동자들에게 말한다. “이것은 콜트자본의 기타가 아니라 노동자들이 피땀흘려 만든 소중한 기타”라고. 세상과 대화하고 공감하는 노동과 문화, 때론 외롭게 갇혀버리는 우리의 생존권 투쟁을 세상 밖으로 안내해주는 아름다운 동행이 되고 있었다.                                                                                                                                                                                                                                                                                                                                                                                                                                                                                                                                                                                                                                                  
344_513_4154.jpg                                                                                                                                                                                                                                                                                                                                                                                                                                                                                                                                                                                                                                                                              ▲ 문화인들과 함께한 미국 원정투쟁에서 나눠준 유인물 금속노동자 ilabor(http://www.ilabor.org)

하단카피라이터

전국금속노동조합 경남지부 / 주소. (51503)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마디미서로 64 노동회관 201호
Tel. 055-283-9113~4 / Fax. 055-267-1266 / 진보넷ID : 경남일
모든 자료는 자유롭게 출처를 밝히고 전재·인용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사전에 경남지부와 협의하여야 합니다. (No Copyright Just Copyleft)